앙리 무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리 무오는 1826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탐험가이자 박물학자이다. 그는 1858년부터 1861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인도차이나 반도를 탐험하며, 특히 앙코르 유적을 서구에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무오는 앙코르 와트를 솔로몬 신전에 비유하며 묘사했지만, 앙코르 유적의 연대를 실제보다 잘못 추정했다. 그는 말라리아로 사망했으며, 그의 저서는 동남아시아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코르 유적 - 앙코르 톰
캄보디아 시엠레아프에 위치한 앙코르 톰은 자야바르만 7세가 건설한 크메르 제국의 수도이자 9km² 면적의 거대한 성곽 도시로, 바이욘 사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적과 다섯 개의 웅장한 성문, 힌두교와 불교 요소가 혼합된 건축 양식, 그리고 '크메르의 미소'로 알려진 관세음보살 얼굴 조각상이 특징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앙코르 유적 - 바이욘
바이욘은 자야바르만 7세가 앙코르 톰에 건설한 크메르 제국의 마지막 국찰이자 대승불교 사찰로, 인면상과 부조, 건축 양식, 종교적 변화를 통해 크메르 건축과 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앙코르 유적의 중요한 사원이다. - 프랑스의 탐험가 - 사뮈엘 드 샹플랭
프랑스의 탐험가 사뮈엘 드 샹플랭은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에 북아메리카를 탐험하며 퀘벡 시티를 건설하여 프랑스 식민지 확장에 기여했고, 원주민과의 관계를 맺으며 누벨프랑스 초기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탐험가 - 르네 로베르 카벨리에 드 라 살
프랑스 탐험가 르네 로베르 카벨리에 드 라 살은 북아메리카 내륙 탐험과 프랑스령 루이지애나 선포, 미시시피 강을 따라 멕시코 만에 이르는 항해 등으로 알려졌으나, 텍사스 식민지 건설 실패 후 부하들의 반란으로 암살당했다. - 1826년 출생 - 스티븐 포스터
스티븐 포스터는 19세기 미국의 작곡가로, 189곡 이상의 가곡을 통해 미국 대중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대표곡으로는 "오! 수잔나", "캠프타운 경주" 등이 있고, 블랙페이스 민스트럴 쇼 연관성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미국 남부 문화를 다룬 그의 음악은 현재까지도 미국 대중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 1826년 출생 - 오시마 타카토
오시마 타카토는 일본 모리오카 출신의 근대 제철 기술자로, 란학 및 채광 기술을 습득하여 일본 최초의 상용 고로를 완성하고 일본 광업계 발전에 기여하여 "일본 근대 제철의 아버지"로 불린다.
앙리 무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앙리 무오 |
원어 이름 | Henri Mouhot |
출생 | 1826년 5월 15일 |
출생지 | 몽벨리아르, 두주, 프랑스 |
사망 | 1861년 11월 10일 |
사망지 | 나판, 라오스 |
국적 | 프랑스 |
분야 | 자연사 |
업적 | |
알려진 업적 | 앙코르 소개 |
영향 | |
영향 받은 인물 | 앙리 루소 |
2. 어린 시절
앙리 무오는 젊은 시절 형 샤를과 함께 유럽을 여행하며 루이 자크 망데 다게르가 개발한 사진 기술을 공부했다.[1] 1856년부터 자연 과학 공부에 전념했다.[1] 1857년 존 보울링의 저서 《시암 왕국과 사람들》을 읽고, 새로운 동물 표본을 수집하기 위해 인도차이나로 탐험을 떠나기로 결심했다.[1]
앙리 무오는 1858년부터 1861년까지 인도차이나 반도를 네 차례 탐험했다. 그는 나폴레옹 3세 정부와 프랑스 회사들의 지원 요청을 거절당했지만, 왕립지리학회와 런던 동물학회의 지원을 받아 탐험을 시작했다.[2][3]
나폴레옹 3세 정부와 프랑스 회사에 연구비와 여행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1] 이후 왕립지리학회와 런던 동물 학회의 지원을 받아, 싱가포르를 경유하여 방콕으로 배를 타고 갔다.[1]
3. 탐험
무오는 방콕을 탐험 기지로 삼아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내륙 지역을 탐험했다. 그는 이전에 지도에 표시되지 않았던 정글 지역을 탐험하며 극심한 고난과 야생 동물의 위협을 이겨내야 했다.
그의 탐험 여정은 3년 6개월 13일 동안 총 4,955km에 달했으며, 상세한 내용은 《르 투르 뒤 몽드》(Le Tour du Monde, 세계 일주 잡지)에 기록되었다.[2][3]
구글 지도에서 확인 가능한 여정 링크
3. 1. 1차 탐험 (1858년)
1858년, 무오는 시암(태국)의 옛 수도인 아유타야를 방문했다. 그는 이곳에서 곤충, 육지와 강에 서식하는 조개류 등 다양한 표본을 수집하여 영국으로 보냈다.[2][3]
Henri Mouhot영어의 첫 번째 탐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단계 | 당시 지명 | 현재 지명 | 《르 투르 뒤 몽드》의 장 | 도착 | 출발 |
---|---|---|---|---|---|
5 | 아유타야(Ajuthia) | 아유타야 | VI | 1858년 10월 23일 | |
6 | 프라 프라탓(Arajiek, Phrabat) | 프라 프라탓 | VII | 1858년 11월 13일 | 1858년 11월 14일 |
7 | 프라 프라탓차이(Patawi) | 프라 프라탓차이 | VIII | 1858년 11월 28일 | |
8 | 방콕(Bangkok) | 방콕 | VIII | 1858년 12월 5일 | 1858년 12월 23일 |
3. 2. 2차 탐험 (1859-1860년)
1860년 1월, 앙리 무오는 두 번째이자 가장 긴 탐험의 마지막에 앙코르에 도착했다. 앙코르는 이미 알려진 지역이었지만, 400 km2가 넘는 면적에 걸쳐 고대 테라스, 연못, 해자 도시, 궁전, 사원 등 수많은 유적지가 있었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앙코르 와트였다.[1] 무오는 3주 동안 앙코르에 머무르면서 앙코르 와트를 비롯한 앙코르 유적의 건축물과 조각을 상세하게 관찰하고 이를 스케치와 글로 묘사했다.[1]


그의 기록은 사후에 "시암, 캄보디아, 라오스 왕국 여행(Voyage dans les royaumes de Siam, de Cambodge, de Laos)"이라는 책으로 출판되어 앙코르를 서구에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1]
3. 3. 3차, 4차 탐험
무오는 1858년부터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내부를 네 차례 탐험했다. 1860년 1월, 두 번째 탐험에서 앙코르에 도착하여 3주간 상세한 관찰기를 작성했고, 이는 사후 출간되었다. 앙리 무오의 동남아시아 탐험은 3년 6개월 13일에 걸쳐 4,955km에 달했다.[2][3]3차 탐험에서는 펫차부리(1860년 5월), 롭부리 등을 방문했다.
당시 지명 | 현재 지명 | 도착 | |
---|---|---|---|
38 | 펫차부리(Petchabury) | 펫차부리(Petchaburi) | 1860년 5월 11일 |
39 | 방콕(Bangkok) | 방콕(Bangkok) | 1860년 9월 1일 |
40 | 롭부리(Nophabury) | 롭부리(Lopburi) | |
41 | 아유타야(Ajuthia) | 아유타야(Ayutthaya) | 1860년 10월 19일 |
42 | 타루아(Tharua-Tristard) | 타루아(Tha Ruea) | 1860년 10월 20일 |
43 | 싸오하이(Saohaïe) | 싸오하이(Sao Hai) | 1860년 10월 22일 |
44 | 왓타클로타이(Khao Koc) | 왓타클로타이(Wat Tha Khlo Tai) | |
45 | 차이야품(Tchaïapoune) | 차이야품(Chaiyaphum) | 1861년 2월 28일 |
46 | 사라부리(Saraburi) | 사라부리(Saraburi) | |
47 | 방콕(Bangkok) | 방콕(Bangkok) | 1861년 4월 12일 |
4차 탐험에서는 시키우, 나콘랏차시마, 차이야품을 거쳐 루앙프라방을 방문했으나, 1861년 말라리아로 사망했다. 그는 란쌍 왕국의 수도였던 루앙프라방에서 왕의 후원을 받고 있었다. 그의 하인 두 명이 남칸 강둑에 그를 매장했다.
당시 지명 | 현재 지명 | 도착 | |
---|---|---|---|
48 | 시키우(Sikiéou) | 시키우(Si Khiu) | |
49 | 나콘랏차시마(Korat) | 나콘랏차시마(Nakhon Ratchasima) | |
50 | 프라삿파놈완(Penom-Wat) | 프라삿파놈완(Prasat Phanom Wan) | |
51 | 차이야품(Tchaïapoune) | 차이야품(Chaiyaphum) | |
52 | 논콕(Nam-Jasiea) | 논콕(Non Kok) | |
53 | 푸키아오(Poukiéau) | 푸키아오(Phu Khiao) | |
54 | 뢰이(Leuye) | 뢰이(Loei) | 1861년 5월 16일 |
55 | 팍라이(Paklaïe) | 팍라이(Pak Lay) | 1861년 6월 24일 |
56 | 타드어(Thodua) | 타드어(Tha Deua) | |
57 | 루앙프라방(Luang Prabang) | 루앙프라방(Luang Prabang) | 1861년 7월 25일 |
58 | 나레(Na-Lê) | 나레(Na Le) | 1861년 9월 3일 |
무오의 총애를 받던 하인 프라이는 무오의 모든 일기와 표본을 방콕으로 옮겨 유럽으로 배송했다. 1867년 그의 무덤 위에 기념비가 세워졌으나, 강의 범람으로 파괴되었다. 1887년 더 튼튼한 기념물로 대체되었고, 1951년 프랑스 극동학교(EFEO)에 의해 일부 복원되었다. 1989년 무덤은 재발견되었고, 1990년 새로운 명판이 설치되었다.
4. 앙코르
앙리 무오는 앙코르 유적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앙코르 유적은 크메르인들에게 잊혀진 적이 없었으며, 무오 이전에도 디오고 두 쿠토와 안토니우 다 마갈다냐를 포함한 여러 서양인들이 이미 방문했다.[1] 무오는 1860년 1월, 두 번째 탐험을 통해 앙코르에 도착하여 3주간 머무르며 앙코르 유적을 상세히 관찰하고 기록했으며, 그의 기록은 사후에 출판된 "시암, 캄보디아, 라오스 왕국 여행"에 포함되어 앙코르 유적을 서구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1. 앙코르에 대한 무오의 기록
무오는 앙코르 유적을 방문하여 앙코르 와트를 솔로몬의 신전에 필적하고, 그리스나 로마가 남긴 어떤 것보다도 더 위대하다고 묘사했다.[1] 그는 앙코르 유적의 웅장함과 정교함에 감탄하며, 이 유적을 건설한 문명이 어떻게 쇠퇴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무오는 앙코르 유적의 연대를 실제보다 훨씬 오래된 2000년 전으로 추정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했다. (실제로는 9~15세기에 건설되었다.)[1]
5. 식민주의에 대한 입장
무오는 유럽 열강의 식민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유럽의 식민 지배가 동남아시아에 진정한 문명의 혜택을 가져다줄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3]
“Will the present movement of the nations of Europe towards the East result in good, by introducing into these lands the blessings of our civilization? Or are we, as blind instruments of boundless ambition, and unfeeling as executioners, to bring to them misfortune, and add to their present miseries?”영어[3]
그러나 무오의 탐험이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식민지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특히 한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이러한 비판적 시각이 강하다.
한편, 무오는 그의 기록에서 동남아시아와 그 문화에 진정으로 관심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프랑스가 그 나라들에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점을 염두에 두기도 했다. 그는 특히 「세계 일주」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3]
“European management, the abolition of slavery, a protective and equitable legislation, and the faithful, experienced, and rigidly honest officials, alone can regenerate this country, bordering on Cochin-China, to which France is about, and no doubt will, extend her hand, and which will then undoubtedly become as rich a granary of plenty as the lower Cochin-China.”영어[3]
“One is astonished to see so little produce in a region so fertile and rich, but one does not know that generally kings and mandarins enrich themselves by rapine, corruption, and every abuse that ruins the people and stops progress. If this country were ruled wisely, prudently, and honestly, with loyalty and protection for its people, everything would change with astonishing speed.”영어[3]
무오는 또한 프랑스가 이미 캄보디아에 제공한 것을 보았다고 강조했다.[3]
“If France had not engaged in the war with the Annamese Empire for the past two years, the last hour would have sounded today for the small kingdom of Cambodia, whose destiny would undoubtedly have been extinguished and assimilated by its neighboring peoples.”영어[3]
6. 사망과 유산
1861년, 무오는 네 번째 탐험 중 라오스의 정글에서 말라리아로 사망했다.[4] 그는 란쌍 왕조의 수도이자 오늘날 라오스로 병탄된 세 왕조 중 하나였던 루앙프라방을 방문했었다. 그의 시신은 두 명의 하인에 의해 남칸 강 언덕 나판의 프랑스 수도원 근처에 묻혔다. 무오가 가장 신뢰하던 하인이었던 프라이는 무오의 여행기와 표본을 방콕으로 이송하여 유럽으로 보냈다.
1867년 프랑수아 가르니에의 1866-68년 메콩 탐험 책에 따르면, 프랑스 사령관 어니스트 두다르 드 라그리의 명령으로 그의 무덤 위에 작은 비석이 세워졌다. 이 비석은 남칸 강의 홍수로 파괴되었고, 1887년 보다 견고한 기념물로 교체되었다. 1951년 프랑스 극동학회에 의해 묘지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다. 무오의 묘비는 정글 속에 소실되었다가 1990년에 재발견되었으며, 몽벨리아의 고향 도시에서 복원을 지원하였다. 현재 무오가 묻힌 루앙프라방 지역은 호텔과 여행사 건물 등이 밀집해 있다.
무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동식물 종으로는 거북 ''Cuora mouhotii''과 뱀 ''Oligodon mouhoti''가 있다.[4]
그의 탐험 기록은 "시암, 캄보디아, 라오스 왕국 여행"을 비롯한 여러 저서로 출판되었다.
6. 1. 무오의 저서 (한국어 번역)
앙리 무오의 여행 일기는 ''Voyage dans les royaumes de Siam, de Cambodge, de Laos et autres parties centrales de l'Indochine프랑스어''(1863년, 1864년 출판)에 수록되어 있다. 영어 제목은 ''Travels in the Central Parts of Indo-China, Cambodia and Laos During the Years 1858,1859, and 1860영어''이다.무오의 저서는 한국어로 다음과 같이 번역, 출판되었다.
- 키쿠치 카즈마사 역, ''앙코르와트의 발견'' (학생사, 1974년)
6. 1. 1. 오이와 마코토 역
오이와 마코토 역, 《앙코르와트의 「발견」 타이·캄보디아·라오스 제왕국 편력기》(마치고토 퍼블리싱, 2018년) ISBN 978-4861433368. 구판은 중앙공론문고, 2002년. ISBN 978-4122039865.6. 1. 2. 키쿠치 카즈마사 역
Voyage dans les royaumes de Siam, de Cambodge, de Laos et autres parties centrales de l'Indochine프랑스어 (1863년, 1864년 출판)에 앙리 무오의 여행 일기가 수록되어 있다. 영어 제목은 Travels in the Central Parts of Indo-China, Cambodia and Laos During the Years 1858,1859, and 1860영어이다.앙리 무오의 저서는 다음과 같이 한국어로 번역, 출판되었다.
- 오이와 마코토 역, ''앙코르와트의 「발견」 타이·캄보디아·라오스 제왕국 편력기'' (마치고토 퍼블리싱, 2018년). ISBN 978-4861433368. (구판은 중앙공론문고, 2002년. ISBN 978-4122039865.)
- 키쿠치 카즈마사 역, ''앙코르와트의 발견'' (학생사, 1974년)
참조
[1]
문서
Translated into French as early as 1819, perhaps Mouhot knew of it
[2]
웹사이트
La société thaïe et les Siamois au milieu du XIX° siècle d'après Henri Mouhot
https://sure.su.ac.t[...]
[3]
서적
Voyage dans les royaumes de Siam, de Cambodge, de Laos et autres parties centrales de l'Indo-Chine
1868
[4]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